📱 카카오톡 탈퇴 전 꼭 확인해야 할 10가지 체크리스트
카카오톡을 탈퇴하려고 마음먹었다면, 단순히 '앱 삭제'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탈퇴와 함께 사라지는 정보들이 꽤 많습니다.
아래 10가지 항목만 꼼꼼히 확인해도 후회 없는 탈퇴를 할 수 있습니다.
1. 대화 백업
카카오톡 탈퇴를 하면 모든 채팅 기록, 사진, 파일, 이모티콘이 삭제됩니다.
중요한 대화는 '설정 → 채팅 → 대화 백업'을 통해 미리 저장해 두세요.
Kakao
기술과 사람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듭니다
www.kakaocorp.com
2. 연결된 외부 서비스 해제
카카오 계정과 연동된 게임, 쇼핑, 음악 등의 외부 서비스가 있다면 탈퇴 전에 모두 연결 해제해야 합니다. 탈퇴 후에는 데이터 복원이 어렵습니다.
3. 결제 정보·잔액 정리
카카오페이, 멜론, 선물함 등에서 보유 중인 포인트나 쿠폰은 탈퇴와 함께 사라집니다. 탈퇴 전에 모두 사용하거나 환불 절차를 마무리하세요.
4. 프로필·친구목록 초기화
프로필 사진, 상태메시지, 친구목록(숨김, 즐겨찾기 포함)은 탈퇴와 함께 모두 삭제되며 복구할 수 없습니다. 필요한 정보는 미리 캡처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카톡설명서
카톡 사용 꿀팁을 알려드려요!
talktips.kakao.com
5. 톡서랍·클라우드 정리
유료 서비스인 톡서랍 플러스나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도 삭제됩니다. 중요한 파일이나 사진은 스마트폰 저장소나 클라우드로 미리 백업하세요.
6. 모바일에서 탈퇴 절차 진행
모바일 앱: ‘더보기(···) → 톱니바퀴 설정 → 개인정보 관리 → 카카오톡 탈퇴’ 경로 따라가세요
※ PC에서는 카톡 탈퇴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모바일로 진행해야 합니다.


7. 카카오톡만 탈퇴할 것인가, 계정 전체도 탈퇴할 것인가?
- 카톡 앱 탈퇴→ 친구 목록, 대화, 선물 등 삭제
- 카카오계정 탈퇴 → 멜론·다음·카카오스토리까지 모두 탈퇴 대상
둘 중 무엇을 원하는지 분명히 결정하세요.
8. 탈퇴 시점과 재가입 시간 체크
- 카톡 탈퇴 후 7일 내 재가입 시 탈퇴 효력이 취소됩니다
- 카카오계정 완전 탈퇴 후 재가입하려면 1년 대기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9. 운영 중인 서비스나 배송 거래는 없는지 확인
- 주문 중인 상품, 예약된 강의, 이용 중인 구독 서비스 등이 있으면 탈퇴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10. 이메일 주소 등록 여부 확인
탈퇴 시 탈퇴 안내 메일 수령용으로 이메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을 등록하지 않았다면 미리 설정을 추가해 두세요



➡️ 최종 탈퇴 절차 정리
1) 모바일 앱 → 설정 → 개인정보 관리 → 카카오톡 탈퇴
2) 유의사항 체크 후 서약 동의 → 탈퇴 완료
※ 카톡만 탈퇴하면 계정은 남아 있고 재가입 가능,
계정까지 탈퇴하면 모든 카카오 서비스 이용 이력 삭제됩니다
✅ 탈퇴 전 남기면 좋은 개인 기록
- 대화방 캡처 또는 텍스트 저장
- 연락처, 주소록 백업
- 선물 받은 메세지 · 이모티콘 목록
- 연결된 앱/서비스 리스트 정리
✅ 탈퇴 후 꼭 기억할 점
- 탈퇴 후 30일간 재가입하면 기존 계정 복원 가능
- 백업하지 않은 대화·사진·파일은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친구들이 “나 왜 없어?” 할 수 있으니 미리 공지 한 번 남기면 좋아요 😊


📝 마무리하며…
탈퇴는 단순한 ‘앱 삭제’가 아닙니다.
소중한 대화, 친구 리스트, 결제 정보를 모두 포기할 수 있는지 꼭 고민하시고,
위 10가지 항목을 천천히 하나씩 체크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탈퇴 후 다시 돌아왔더니 친구 하나도 없이 시작했다…”
라는 후기를 남기지 않도록 하세요. 🙂
탈퇴 절차 함께 고민하고 싶으시면 언제든지 말 걸어주세요!
2025.07.06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판 카톡 차단 확인법 총정리 – “내가 차단됐을까?” 5분이면 OK!